Spring

Spring Boot, 스프링 부트란

greenyellow-s 2024. 11. 5. 18:14
728x90
반응형
Spring Boot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서브 프로젝트로 만들어졌다.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도구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스프링 부트는 다른 프레임워크처럼 커맨드 도구를 제공하고 톰캣이나 제티 같은 내장 서버를 통해 복잡한 설정과 실행을 간소화했다.

 

스프링 부트 퀵스타트

 

스프링 부트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스프링을 비롯한 어떤 라이브러리도 개발자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스프링 부트가 모든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관리해준다. 스프링 컨테이너를 위한 XML 환경설정 파일 역시 작성하지 않는데, 이는 스프링 부트가 기본적으로 모든 빈(Bean) 설정을 XML이 아닌 어노테이션으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생성되는 프로젝트를 웹 프로젝트로 패키징하여 실행하려면 WAR로 설정해야 하지만 스프링 부트는 웹 애플리케이션도 JAR 파일로 패키징하여 실행할 수 있다.

 

 

 

main 메소드를 가지고 있는 클래스의 클래스명 : 프로젝트명+Application.java

따라서, 프로젝트명은 대문자로 시작하기를 추천한다.

 

Project : Chapter01HelloMaven

                    src/main/java

                          Chapter01HelloMavenApplication.java(main메소드) -- 시작점

 

 

js 저장할 곳이 없다. (쓰지 말라는 얘기)

 

html -> src/main/resources static에 들어감 (요청)

Thymeleaf -> src/main/resources templates (응답)

리액트 -> src main

 

 


우선순위

 

Chapter01HelloGradleApplication.java

SpringApplication springApplication = new SpringApplication(Chapter01HelloGradleApplication.class);
springApplication.setWebApplicationType(WebApplicationType.NONE);
springApplication.run(args);
		
System.out.println("Hello Spring Boot!!");

 

 

 

application.properties

# WebApplicationType
spring.main.web-application-type=servlet

 

 

우선순위는 application.properties 가 먼저 적용된다.

즉, 아무리 Chapter01HelloGradleApplication.java에 톰캣 실행을 멈추는 코드를 써도 properties에서 서버를 키는 코드를 넣으면 서버가 켜진다.

 

 


브라우저에 바로 뿌리는 방법
@RequestMapping(value = "/")
@ResponseBody
//브라우저에 바로 문자열을 뿌리기 -- 
public String index() {
	return "Hello Spring Boot!!";
}

 

@Controller 대신 @RestController를 사용하면 @ResponseBody가 없어도 브라우저에 바로 문자열을 뿌려준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