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ymeleaf 란?
Thymeleaf는 주로 서버 측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사용되는 템플릿 엔진이다.
즉, HTML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하지만 Thymeleaf는 서버 측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이메일 템플릿, PDF 생성, XML 처리 등 다양한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시 Thymeleaf 추가 해서 생성하기 또는 Thymeleaf 의존성 추가
특징
- 서버 사이드 HTML 렌더링(SSR)
타임리프는 백엔드 서버에서 HTML을 동적으로 렌더링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네츄럴 템플릿
타임리프는 순수한 HTML을 최대한 유지하려는 특징이 있다.
이게 JSP와의 큰 차이점으로 타임리프로 작성한 파일은 확장자도 .HTML이고 웹 브라우저에서 직접 파일을 열어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를 통해 뷰 템플릿을 거치면 동적으로 변경된 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순수 HTML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뷰 템플릿도 사용할 수 있는 타임리프의 특징을 네츄럴 템플릿 (natural templates)이라고 한다.
- 스프링 통합 지원
타임리프는 스프링과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스프링의 다양한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법
타임리프는 문서 최상단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
xmlns:th="http://www.thymeleaf.org"
타임리프는 주로 HTML 태그에 th:* 속성을 지정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th:* 로 속성을 적용하면 기존 HTML 속성을 대체하고, 기존 속성이 없으면 새로 만든다.
주석
주석 | ||
HTML | Thymeleaf(1줄 주석) | 두줄 이상 주석 |
<!-- --> | <!--/* */--> | <!--/* --> <!-- */--> |
Web에 관련된 내용은 Spring Boot에 없다. -> Spring Boot는 web을 지원하지 않는다
Web 보이게 하는 방법
Help – Eclipse Marketplace – java and web 검색 – Install – confirm – 다 허용 – finish
체크 - Trust selected
다시 만들면 web – html파일 만드는게 생긴다.
저장위치
Thymeleaf 파일은 src/main/resource 안에 templates 파일에 html 파일로 들어간다.
src/main/resource
static -> html, image, css, js, mapper 파일
templates –> index.html
http://localhost:8080 하면 성공
연습 파일 위치
ThymeleafTest
src/main/java
com.example.demo
ThymeleafTestApplication.java
thymeleaf.controller
ThymeleafController.java
src/main/resoucres
templates
index.html
basic.folder
hithymeleaf.html
static
style.css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Thymeleaf 예제 -2 / 조건문 및 표현식 사용 (3) | 2024.11.13 |
---|---|
Spring Boot, Thymeleaf 예제 -1 (0) | 2024.11.12 |
Spring Boot, React와 같이 작업하기 (0) | 2024.11.11 |
Spring Boot, React와 같이 작업하기 (1) | 2024.11.07 |
Spring Boot, bean생성 / Lombok 사용 (0)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