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지식/기본지식

호스팅이란

by greenyellow-s 2025. 5. 2.
728x90

    호스팅

    정보의 집약체인 서버의 전체 혹은 일부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임대해주는 서비스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24시간 내내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해야하고,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회선을 사용해야하며, 철저한 보안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개인이 서버를 관리하기 보다 전문 업체의 호스팅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호스팅 종류

    1. 웹 호스팅
      • 여러 고객이 하나의 서버함께 사용하는 형태
      • 장점, 하나의 서버를 나누어 쓰기 때문에 저렴하게 이용 가능하고 호스팅 업체의 통합 관리를 받기에 편리하다.
      • 단점, 사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가 제한적
    2. 서버 호스팅
      • 고객이 단독 서버를 사용하는 형태
      • 장점, 넓은 하드웨어 공간을 사용할 수 있고, 서버 운영/관리에 대한 직접적인 권한을 가질 수 있다.
      • 장점,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
      • 단점, 비용이 높다.
      • 따라서, 대기업이나 대형 포털 혹은 대형 오픈 마켓과 같이 많은 데이터를 사용하는 기업들이 사용하기 좋다.
    3. 클라우드 호스팅
      • 서버 호스팅을 가상화한 것으로, 가상 서버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형태
      • 장점, 고객이 필요할 때마다 서버 자원을 늘리거나 축소하여 유연하게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 단점, 하나의 가상 서버에 문제가 생기면 연결된 다른 가상 서버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웹 호스팅

    웹 사이트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데스크톱, 모바일 및 테블릿과 같은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손쉽게 액세스하도록 하는 서비스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 또느 웹사이트는 일반적으로 서버라는 특수한 컴퓨터에 저장해야하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코드와 같은 여러 파일로 구성된다. 웹 호스팅 서비스 공급자는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임대할 수 있는 물리적 서버를 유지 관리, 구성 및 실행한다.

     

    또한, 웹 사이트 및 웹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서비스는 보안, 웹 사이트 백업, 웹 사이트 성능 등의 추가 지원을 제공하여 고객이 웹 사이트의 핵심 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웹 호스팅이 중요한 이유

    1. 비용 및 시간 절감
      • 내부 서버를 구축하려면 고가의 하드웨어, 전문 인력, 유지 관리 비용이 필요
      • 웹 호스팅 서비스는 이를 대신해줌으로써 효율적이고 저렴한 웹사이트 운영 가능
    2. 성능 (Performance)
      • 웹 호스팅 업체고성능 서버, 빠른 네트워크, 최신 기술에 투자
      • 여러 고객의 사이트를 위한 고성능 처리 능력 및 메모리 제공
      • 결과적으로 웹사이트 로딩 속도 개선 및 사용자 경험 향상
    3. 신뢰성 (Reliability)
      • 전문 인프라 운영팀이 24시간 서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유지 관리
      • 시스템 업그레이드와 보안 패치도 자동으로 수행됨
      • 고객은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서비스 품질 향상에 집중 가능
    4. 기술 지원 (Technical Support)
      • 대부분의 호스팅 서비스는 장애 대응, 백업, 복구, 분석 툴 등을 포함
      •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즉시 도움을 받을 수 있어 운영 안정성 확보
    5. 보안 및 규정 준수 (Security & Compliance)
      • 물리적 보안, 소프트웨어 보안, 운영 보안 등 다층 보안 체계 제공
      • SSL, 방화벽, DDoS 방어, 백업 등 기본 보안 기능 탑재
      • 법적 규정 (예: 개인정보 보호법, GDPR 등)에 맞춘 인프라 제공

     


    웹 호스팅의 주요 특징

    1. 다양한 호스팅 플랜 제공
      • 웹 사이트의 규모, 방문자 수, 트래픽 양, 기능 요구 사항에 따라 선택 가능
      • 가격은 무료부터 고급 유료 플랜까지 다양
    2. 디스크 공간 (저장 공간)
      • 웹 사이트의 파일, 이미지, 이메일, 데이터베이스 저장용
      • 향후 사이트 성장까지 고려하여 여유 있게 확보 필요
      • 공간이 부족하면 성능과 사용자 경험 저하 우려
    3. 대역폭(Bandwidth)과 데이터 전송량(Data Transfer)
      • 대역폭: 한 번에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 (예: 파이프의 굵기)
      • 데이터 전송량: 실제로 전송된 총 데이터 양 (예: 흐른 물의 총량)
      • 많은 방문자가 몰릴 경우 대역폭이 부족하면 사이트 느려질 수 있음
    4. 이메일 기능
      • 도메인 기반 이메일 계정 생성 가능 (예: name@example.com)
      • 유형:
        • POP3: 직접 메일 수신 및 저장
        • 메일 전달(Forwarding): 다른 주소로 리디렉션
        • 별칭(Alias): 여러 주소를 하나의 편지함으로 수신
    5. FTP(File Transfer Protocol) 액세스
      • 웹 서버에 파일 업로드/다운로드 가능
      • 방문자가 PDF, 이미지, 문서 등을 쉽게 받을 수 있도록 지원

     

    웹 호스팅 선택 시 고려할 요소

    • 디스크 용량과 확장성
    • 트래픽 한도 및 속도
    • 도메인 이메일 지원 여부
    • FTP 지원 및 사용 편의성
    • 기술 지원의 질과 신속성
    • 가격 대비 성능

     


    웹 호스팅과 도메인 이름의 차이점

     

    웹 호스팅은 웹 사이트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에 인터넷 상의 서버 또는 컴퓨터를 제공

    도메인 이름은 사용자가 서비스 공급자를 찾을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에 주소를 제공

     

     


    웹 호스팅 동작 방법

    1. 계정 생성 및 공간 할당
      • 사용자가 웹 호스팅 공급자와 계약하면, 공급자는 서버에 웹사이트를 위한 저장 공간을 할당합니다.
      • 사용자는 호스팅 대시보드(예: cPanel, Plesk 등)를 통해 이 공간을 관리하고 파일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2. 서버 자원 접근
      • 단순한 저장 공간 외에도 다음과 같은 자원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 RAM (메모리)
        • CPU (처리 속도)
        • 대역폭 (트래픽 용량)
      • 사용 가능한 리소스는 사용자가 선택한 웹 호스팅 유형에 따라 달라집니다.
    3. 성장에 따른 확장 가능
      • 초기에는 무료 또는 저렴한 공유 호스팅으로 시작
      • 트래픽이 증가하거나 고성능이 필요할 경우:
        • VPS → 전용 서버 → 클라우드 호스팅 등으로 업그레이드
     

     

    예시

    공동 업무 공간 공유 호스팅 (다수의 웹사이트가 한 서버를 공유)
    사무실 일부 VPS (가상 사설 서버) (서버 자원을 분할해 독립 운영)
    전용 사무실 전용 서버 호스팅 (서버 전체를 독점 사용)
    사무실 건물 전체 클라우드 호스팅 (확장 가능한 대규모 자원 활용)
     
    728x90

    '개발 지식 > 기본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OS)의 일반적인 작동 원리  (0) 2025.05.02
    터미널이란  (0) 2025.05.02
    도메인 이름이란?  (0) 2025.05.02
    DNS와 그 작동 원리  (0) 2025.04.30
    브라우저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3) 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