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200

JS, 로또 당첨 숫자 뽑기(+ 보너스 숫자도 포함)

로또 당첨 숫자 뽑기(+ 보너스 숫자도 포함) 이미지 조건1. 총 7개의 난수를 1부터 45의 숫자 사이에서 구한다.2.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서 출력한다(보너스 숫자 제외)3. 1~10,11~20,21~30,31~45 단위로 색을 다르게 지정한다.4. "로또 출력" 버튼을 누르면 로또 숫자가 새로 만들어진다.HTML 구문 JavaScript 구문function random(x,y){ return Math.floor(Math.random() *(y-x+1) + x);}function lotto(){ let lotto = []; while(lotto.length a-b); for(let i=0; i" + lotto[i] + ""; } document.getElementById("lotto").innerHTML..

JavaScript 2024.08.22

JS, 디데이(D-DAY) 계산하기

디데이(D-DAY) 계산하기 이미지 조건1. prompt로 사용자에게 날짜를 입력받는다.2. 입력받은 날짜부터 오늘까지 지난 날을 구한다.HTML 구문사귄 기간 : ~  JavaScript 구문function dday(){ let user = prompt("만난 날을 입력하세요(YYYY/MM/DD)"); let date = new Date(); let start = new Date(user); let minus = date.getTime() - start.getTime(); let d_day = Math.floor(minus / (1000*60*60*24))+1; document.getElementById("d-day").innerText = `우리가 만난지 ${d_day}일`; let today = ..

JavaScript 2024.08.22

JS, 숫자 입력 받아서 3의 배수인 숫자 찾기(+ 합)

숫자 입력 받아서 3의 배수인 숫자 찾기(+ 합) 실행 이미지 조건1. prompt로 숫자를 입력받는다.2. 1부터 입력받은 숫자까지 모든 3의 배수를 찾아 나열한다.3. 총 개수와 합을 구해 출력한다.HTML 구문3의 배수 찾기 JavaScript 구문let num = prompt("몇 까지 3의 배수를 찾을까요?"); // 고정되야되서var count = 0;var sum = 0; var number = document.getElementById("number"); for(var i=1; i  해석 prompt로 사용자에게 값을 받아온다.let num = prompt("몇 까지 3의 배수를 찾을까요?"); 개수와 합을 저장할 변수를 선언하고 해당 숫자들을 출력할 공간을 변수에 저장한다.var co..

JavaScript 2024.08.22

JS, 객체 / 내장객체 (Array, Date, Math)

객체 변수와 함수의 집합 JavaScript는 Prototype 기반의 객체지향언어이다.객체를 원형(Protorype) 형태로 생성하고, 그 안에 기능을 위한 변수나 함수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그룹화 하는 개념이다. 객체는 자주 사용하게 될 기능들을 묶어서 외부의 스크립트 파일로 분리해 내는 용도로 주로 사용한다.이렇게 만든 스크립트 파일은 여러개의 HTML 파일에 의해서 참조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JavaScript에는 내장 객체가 있는데 내장 객체란 자주 사용하는 요소를 미리 객체로 정의해 둔 것을 말한다.Number, Boolean, Array, Math, Date 등 다양한 내장 객체가 있다.내장 객체 Array, Date, Math ...Array 객체 let arr1 = new Array();..

JavaScript 2024.08.22

JS, JavaScript 란? (변수, 함수, 이벤트 처리)

JavaScript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서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한다.  위치는 head 태그 안에 위치해 있거나 body태그 안에 위치해야한다.html이 다 수행되고 스크립트가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행 순서가 스크립트가 아래에 있는게 더 추천한다. * 스크립트를 아래로 두지만 스크립트가 body 태그 안에 있어야한다.    변수 변수의 자료형은 값이 할당될 때 자동으로 결정된다. 변수의 자료형 종류 : var, let, const 자료형특징 let 자바의 지역변수와 같은 의미이다.지역변수, 구역단위로 살아있다.하지만 구역이 끝나면 사라진다.var 자바의 전역 변수와 같은 의미이다.다른 구역에 있어도 같은 변수로 바라본다.변수명이 동일한 변수를 같은 파일 안에 선언이 가능하지만하나의 변수로 보고 값을 ..

JavaScript 2024.08.22

Oracle, 저장 서브 프로그램

저장 서브 프로그램 PL/SQL 블록은 작성한 내용을 한 번 실행하는데 사용한다.PL/SQL 블록은 이름이 정해져 있지 않아서 익명 블록이라고도 한다.익명 블록은 오라클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한 번 실행 한 후에 다시 실행하려면 PL/SQL 블록을 다시 작성하여 실행해야 한다. 저장 서브 프로그램은 여러 번 사용할 목적으로 이름을 지정하여 오라클에 저장해 두는 PL/SQL 프로그램을 말한다.저장할 때 한 번 컴파일 한다.오라클에 저장하여 공유할 수 있어서 메모리, 성능, 재사용성 등 의 장점이 있다.대표적인 구현 방식은 프로시저, 함수, 패키지, 트리거 이다. 구현 방식  프로시저파라미터 사용 X작업 수행에 별다른 입력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는 경우파라미터 사용 OIN필요한 값을 직접 입력 받는 형식의 ..

Database/Oracle 2024.08.22

Oracle, PL/SQL 이란?

PL/SQL Procedural Language extension to SQL SQL만으로는 구형이 어렵거나 구현 불가능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다.변수, 조건, 반복 처리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Block 이란? PL/SQL은 데이터베이스 관련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와 실행에 필요한 여러 요소를 정의하는 명령어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명령어들을 모아 둔 PL/SQL 프로그램의 기본 단위를 블록이라고 한다. [형식]DECLARE        선언부 - 변수, 상수, 커서 등을 선언 (생략가능)BEGIN        실행하는 명령어EXCEPTION        예외처리(생략가능)END; DECLARE, BEGIN, EXCEPTION에는 ;(세미콜론)을..

Database/Oracle 2024.08.21

Oracle, View 란? (뷰 형식, 제약조건, 뷰-인라인, Top N분석)

VIEW 다른 테이블이나 뷰에 포함됨 맞춤 표현(Virtual Table) join하는 테이블의 수가 늘어나거나 질의문이 길고 복잡해지면 작성이 어려워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어 스크립트를 만들어두거나 stored query를 사용해서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저장해두면 필요할 때마다 호출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징 뷰와 테이블의 차이점 : 뷰는 실제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베이스테이블 : 뷰를 통해 보여지는 실제테이블선택적인 정보만 제공 가능하다. CREATE [OR REPLACE][FORCE][NOFORCE] VIEW 뷰이름 [(ALIAS [,ALIAS, ... ])]AS 서브쿼리[WITH CHECK OPTION [CONSTRAINT 제약조건이름]][WITH READ ONLY [CONSTRAINT..

Database/Oracle 2024.08.21

Oracle, 테이블 생성 / 삽입, 삭제, 수정 / 복사 / 시퀀스

테이블 생성 CREATE TABLE 테이블명( 컬럼명1 컬럼타입 [제약조건], 컬럼명2 컬럼타입 [제약조건], ...); 조건 문자로 시작해야 한다. (30자 이내) - 영문 대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 _, $, # ), 한글 가능중복되는 이름은 사용하면 안된다.예약어(CREATE, TABLE, COLUMN 등)은 사용할 수 없다. 자료형자료형특징NUMBERnumber(전체 자리, 소수 이하)의 형태숫자형(가변형)INT정수형 숫자(고정형)VARCHAR / VARCHAR2문자, 문자열(가변형) -> 최대 4000byteCHAR문자, 문자열(고정형) -> 2000byteDATE날짜형CLOB문자열 -> 최대 4GBBLOB바이너리형(그림, 음악, 동영상...) 최대 4GB 제약조건제약조건특징 NOT NULL..

Database/Oracle 2024.08.20

Oracle, [SET operator] - 집합연산자, 하위질의 (SubQuery)

[SET operator] - 집합연산자두 개 이상의 쿼리 결과를 하나로 결합시키는 연산자 UNION : 양쪽 쿼리 모두 포함(중복 결과는 1번만 포함) UNION ALL : 양쪽 쿼리를 모두 포함(중복 결과도 모두 포함) INTERSECT : 양쪽 쿼리 결과에 모두 포함되는 행만 표현 MINUS : 쿼리1 결과에 포함되고 쿼리2 결과에는 포함되지 않는 행만 표현 UNION, INTERSECT, MINUS 는 order by한다. UNION ALL은 order by 하지 않고 무조건 합해준다. 하위질의 (SubQuery)하나의 쿼리에 다른 쿼리가 포함되는 구조, ()로 처리 단일 행 서브쿼리(단일 행 반환) : >,=,(!=) 다중 행 서브 쿼리(여러 행 반환) : in, any, all > any : ..

Database/Oracle 2024.08.20
728x90